맨위로가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193년부터 211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다. 북아프리카 출신으로, 콤모두스 암살 이후 발생한 내전(다섯 황제의 해)에서 승리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는 군대를 증강하고 군인들의 처우를 개선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파르티아 원정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로마 원로원을 무시하고 군사 독재 체제를 강화하여, 통치 말기에는 브리타니아 원정 중 사망했다. 그의 치세는 로마 제국의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나, 화폐 평가절하와 군비 증강으로 제국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노니아 총독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판노니아 총독 -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는 트라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영향력을 행사한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으로, 집정관과 속주 총독을 지냈으나 하드리아누스의 후계 구도 변화로 반역죄로 처형당했다.
  • 211년 사망 - 게타 (황제)
    게타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아들이자 카라칼라의 동생으로, 공동 황제였으나 형과의 불화로 암살당하고 기억말살형을 당했다.
  • 211년 사망 - 왕루 (삼국지)
    왕루는 삼국시대 유장 휘하의 종사로, 유비의 익주 침공을 반대하다 뜻을 이루지 못하자 자결을 시도했으며,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의 촉 정벌에 기여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화양국지》에서는 충렬공으로 칭송받는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턱수염을 기른 남성의 흰색 흉상
로마의 로마 설화 석고와 대리석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흉상, 카피톨리니 미술관, 로마
이름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로마자 표기Lukius Septimius Sebereus
출생일145년 4월 11일
출생지레프티스 마그나, 리비아
사망일211년 2월 4일 (65세)
사망지에보라쿰, 브리타니아
배우자파키아 마르키아나 (약 175년 결혼, 약 186년 사망)
율리아 돔나 (187년 결혼)
자녀카라칼라
게타
왕조세베루스 가문
아버지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어머니풀비아 피아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 기간193년 4월 9일 – 211년 2월 4일
선임자디디우스 율리아누스
후임자카라칼라와 게타
공동 황제카라칼라 (198–211)
게타 (209–211)
휘호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추가 정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아우레우스

2. 생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북아프리카 렙티스 마그나(현재의 리비아 트리폴리) 출신으로, 회계 감사관, 호민관을 거쳐 법무관을 역임했다.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시칠리아 등지의 총독을 거쳐 191년 판노니아 총독으로 부임했다.

192년 콤모두스가 암살된 후 페르티낙스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게 살해당하자 황제를 자칭했다. 페르켄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도 황제를 자칭하며 내란(다섯 황제의 해)이 일어났다. 세베루스는 알비누스와 연합하여 율리아누스를 살해하고 로마에 입성, 근위대를 해산시켰다. 이후 니게르와 내전을 벌여 194년 니카이아 전투에서 승리하고, 이수스 평원에서 니게르를 격파하여 살해했다. 197년에는 알비누스를 격파하고 단독 황제가 되었다.

세베루스는 군대를 우대하고 원로원을 무시했으며, 세베리아나 가도 건설 사업을 벌였다. 군대를 30개 군단으로 증강하고 병사 봉급을 인상하여 군대를 특권 계급으로 만들었다. 관료제를 강화하여 중앙 권력을 강화하고 지방 자치를 압박했다. 지출 증가로 이탈리아에도 세금을 물렸다. 199년 파르티아 원정을 통해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속주화하고, 세베루스 개선문을 세웠다. 205년에는 후계자 문제로 카라칼라가 플라우티아누스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10년부터 브리타니아 원정을 감행하다가 211년 에부라쿰에서 카라칼라와 게타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사망했다.

2. 1. 출신 배경 및 초기 경력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145년 4월 11일 렙티스 마그나에서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와 풀비아 피아의 아들로 태어났다.[3] 아버지는 기사 계급으로, 카르타고인이면서 로마에 충성을 맹세했고, 포에니 전쟁 시대에 군공을 세워 영지를 받은 명문가 출신이었다.[104] 어머니 풀비아는 이탈리아 본토 출신의 유서 깊은 혈통이었다.[105]

세베루스는 고향 렙티스 마그나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모국어인 라틴어와 교양으로 여겨지던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지역에 남아있는 카르타고인이 사용하는 페니키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 이는 그의 라틴어 억양에까지 영향을 미쳐, "카르타고 억양"이라고 조롱받는 요인이 되었다.[107]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웅변학을 배웠으며, 17세 때 공석에서 연설을 처음 했다.[107]

162년경, 세베루스는 궁정에서 관직을 얻고자 제국 수도 로마로 향했다. 친족인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추천으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대의 원로원에 출입하게 되었다.[16] 그러나 호민관직에 선출되지 못했고, 재무관에 대해서도 최저 연령인 25세까지 기다려야 했다.[108] 166년에는 천연두가 로마를 덮쳐, 세베루스는 고향에서 요양해야 했다.[109] 169년에 다시 로마로 돌아와 재무관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2월 5일에 재무관에 취임하여 원로원 명부에 기재되었다.[110]

170년부터 180년까지 세베루스는 많은 직책을 역임했지만, 원로원 시대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안토니누스 역병"으로 인한 인재난이 세베루스의 출세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1차 재무관을 마친 후 히스파니아 바이티카에서 직무를 계속하도록 명령받았으나,[111] 아버지의 급사로 렙티스 마그나로 귀성하는 동안 바이티카에서 동란이 일어나 부임하지 못했다.[112] 173년,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속주 아프리카의 총독으로 부임했을 때, 세베루스를 자신의 레가투스 프로 프라에토르 (속주 대리관)로 지명했다.[113] 귀국 후, 세베루스는 호민관 직무를 거쳤다.[114]

2. 2. 결혼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30대 초반이었던 175년경, 립티스 마그나 출신의 파키아 마르시아나와 첫 결혼을 했다.[26] 그는 삼촌 밑에서 군단장으로 재직하면서 그녀를 만났을 가능성이 높다. 마르시아나의 이름은 푸니 또는 리비아 기원을 암시하지만, 그녀에 관해서는 다른 알려진 정보가 없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자서전에 그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황제가 된 후 그녀를 기리는 조각상을 세웠다. ''로마 황제 열전''은 마르시아나와 세베루스가 두 딸을 두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증언은 남아 있지 않다. 이 결혼은 10년 이상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한 자녀를 낳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24]

마르시아나는 186년경 자연사했다.[25] 40대에 접어든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자녀가 없었고 재혼을 갈망하여, ''로마 황제 열전''에 따르면 점술로 신부를 찾았다.[116] 그는 로마령 시리아의 에메사 출신 율리아 돔나와 결혼했다.[117] 율리아 돔나의 아버지 율리우스 바시아누스는 아랍 에메세네 왕조의 후손이며, 지역 태양신 엘라가발 숭배의 대사제였다.[27] 카시우스 디오는 이 일족이 로마에서는 평민에 불과했지만, 지역에서는 상당한 자금과 지위를 가진 호족이었다고 전한다.

바시아누스는 187년 초 세베루스의 결혼 제안을 받아들였고, 그해 여름 부부는 리옹에서 결혼했다.[29]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율리아와 그녀의 정치적 의견을 소중히 여겼으며, 율리아는 문학과 철학에 헌신하여 훌륭한 명성을 쌓았다.[30] 그들은 두 아들,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바시아누스(카라칼라)와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를 두었다.[31]

3. 황제 즉위와 내전

192년 12월 31일 콤모두스가 암살당한 뒤 내란이 일어나 페르티낙스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게 살해당하자 황제를 자칭하였고, 뒤이어 시리아 총독 페스케니우스 니게르, 브리타니아 총독 클로디우스 알비누스도 황제를 자칭하였다.(다섯 황제의 해)

이에 7개 군단 4만 2000명의 군사를 거느린 알비누스와 공동 황제로 즉위하는 조건으로 연합하고 12개 군단 7만 2000명 중 2개 군단을 본국으로 내려보내 율리아누스를 살해하고 로마에 입성해 근위대를 해산시켰다.[34][35]

뒤이어 8개 군단 4만 8000명의 동방 군대를 이끄는 니게르와 내전을 벌여 193년 말에 벌어진 페린투스 전투에서는 패했지만, 194년 1월 니카이아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리고 10월 이수스 평원에서 결전을 벌여 니게르를 대파하고 추격대를 보내 유프라테스강 근처에서 살해했다.[35]

197년 2월 19일 배로 불어난 대군을 이끌고 리옹 근처의 평원에서 알비누스와 전투를 벌여 승리함에 따라 알비누스가 자결하고 세베루스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37][38][39]

로마 대리석 흉상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서기 3세기 초, 알테스 박물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콤모두스 황제를 섬기며 로마 귀족 계급의 전형적인 경력을 쌓았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단절 후의 혼란(오현제의 해)에서 두각을 나타내 유력한 황제 후보가 되었고, 페르티낙스 황제가 죽은 후 실권을 장악했다. 그는 생존해 있던 황제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를 실각시키고 스스로 황제에 즉위했다.

황제가 된 후, 클로디우스 알비누스와 페스케니우스 니게르라는 두 명의 참칭 황제와의 싸움이 시작되자, 세베루스는 이수스 전투에서 먼저 페스케니우스를 격파했고[96], 이어서 루그두눔 전투에서 클로디우스를 물리쳤다.[97]

4. 통치와 업적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북아프리카 렙티스 마그나(현재의 리비아 트리폴리) 출신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191년 판노니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2년 콤모두스 암살 이후 혼란기에 황제를 자칭했고, 다른 경쟁자들과의 내전을 거쳐 197년 단독 황제가 되었다.

그는 군대를 우대하고 원로원을 무시하는 정책을 펼쳤다. 군대를 30개 군단으로 증강하고 병사들의 봉급을 인상하여 군대를 특권 계급으로 만들었다. 또한 관료제를 강화하여 중앙 권력을 강화하고 지방 자치를 압박했다. 이러한 조치로 지출이 늘자 이탈리아에도 세금을 부과했다.

199년 파르티아 원정을 통해 메소포타미아 지방을 속주로 만들었고, 세베루스 개선문을 건설하는 등 여러 공공 사업을 벌였다. 210년부터는 칼레도니아 정복을 위해 브리타니아 원정을 감행했으나, 211년 에부라쿰에서 사망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금상, 1965년 북부 그리스디디모티호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코모티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베루스는 원로원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군대를 통해 권력을 잡았기 때문에 원로원의 지지를 받지 못했고, 부패나 음모를 이유로 많은 원로원 의원들을 처형했다. 그의 행동은 로마를 군사 독재 체제로 만들었지만, 콤모두스 시대의 부패를 근절하여 시민들에게는 인기가 있었다.[51][52]

197년 이후, 세베루스는 근위대장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에게 크게 의존했고, 플라우티아누스는 제국 행정을 거의 장악했다. 그러나 205년 플라우티아누스는 카라칼라의 고발로 처형되었다.[54] 이후 세베루스는 아내 율리아 돔나에게 더 의존했다.[55]

4. 1. 군사 정책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군대를 자신의 권력 기반으로 삼고 우대했다. 제국 정규군 총수를 33개 군단으로 고정하고,[58] 군단병 급여를 연 300 데나리우스에서 500 데나리우스로 대폭 인상했다.[60] 또한 속주민으로 구성된 보조군(아욱실리아)을 증강하여 주로 동방 속주에서 많은 지원자들을 소집했다. 193년 로마에 도착한 세베루스는 페르티낙스를 살해하고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게 제국을 경매로 판 프라이토리아니(근위대)를 해산시켰다.[34] 그 대신 자신의 도나우 군단 베테랑들로 구성된 10개의 새로운 코호트로 프라이토리아니를 교체했다.[57]

197년경 군단 수를 30개에서 33개로 늘렸고,[58] I 파르티카, II 파르티카, III 파르티카라는 세 개의 새로운 군단을 창설했다.[58] II 파르티카를 로마에서 20km 떨어진 알바눔에 주둔시켰다.[57] 병사들에게 각각 1,000 세스테르티우스(250 데나리우스)의 도나티붐(특별 하사금)을 지급했고,[59] 군단병 연봉을 300 데나리우스에서 400 데나리우스로 인상했다.[60] 세베루스는 이탈리아에 제국 군대 일부를 주둔시킨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61] 그는 로마가 어디든 파견될 수 있는 군사적 중앙 예비군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았다.[61]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황제로 추대된 군단인 제14 '쌍둥이 마르티아 빅트릭스'(XIV ''Gemina Martia Victrix'')를 기념하기 위해 193년에 주조한 아우레우스.


197년 초, 세베루스는 로마를 떠나 동쪽으로 원정을 시작했다.[41] 그는 브린디시에서 배를 타고 킬리키아의 에게해 항구에 상륙하여 육로로 시리아로 이동했다.[41] 즉시 군대를 소집하여 유프라테스 강을 건넜다.[42] 오스로에네의 왕 압가르 9세는[43] 자신의 자녀들을 인질로 넘겨주고 궁수들을 제공하며 세베루스의 원정을 도왔다.[44] 아르메니아의 코스로브 1세 또한 인질, 돈, 선물을 보냈다.[45] 세베루스는 니시비스로 이동했는데, 그의 장군 율리우스 레투스가 그곳이 파르티아 제국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막았다.[46] 그 후 세베루스는 시리아로 돌아가 파르티아 제국에 대항하여 또 다른 작전을 이끌었다. 그의 군단은 파르티아 왕실 도시 크테시폰을 약탈했고,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제국에 합병했다.[47][48] 세베루스는 트라야누스의 선례를 따라 ''Parthicus Maximusla''(파르티쿠스 막시무스)라는 칭호를 얻었다.[49] 그러나 그는 하트라 요새를 점령할 수 없었다.[50] 동쪽에 있는 동안 세베루스는 아라비아 사막에서 바시에에서 두마타에 이르는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여 ''리메스 아라비쿠스''를 확장했다.[50]

202년 말, 세베루스는 아프리카 속주에서 원정을 시작했다. 제3군단 아우구스타의 군단장 퀸투스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는 5년 동안 리메스 트리폴리타누스를 따라 가람테스와 싸웠다. 그는 키다무스, 골라이아, 가르비아, 그리고 그들의 수도인 가라마(렙티스 마그나에서 600km 이상 남쪽에 위치)와 같은 여러 정착지를 점령했다.[65] 누미디아 속주도 확장되었다.[66] 203년까지 로마 아프리카의 남부 국경 전체가 극적으로 확장되고 재요새화되었다.[47]

208년, 세베루스는 칼레도니아 정복을 목표로 브리타니아로 향했다. 그는 4만 명 이상의 군대를 이끌고 브리타니아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8]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강화하고 앤토닌 방벽까지의 서던 업랜드를 재정복했으며, 앤토닌 방벽 또한 개축했다. 세베루스는 군대를 이끌고 방벽을 넘어 칼레도니아 영토로 북쪽으로 진격했다.[69] 1세기 이상 전에 아그리콜라가 했던 발자취를 따라 세베루스는 카포우와 같이 버려진 많은 로마 요새를 재건하고 주둔시켰다.[69]

카시우스 디오는 칼레도니아 침공에 대해 "세베루스는 칼레도니아를 침공했다. ... 그는 그 땅을 가로질러 진격하면서 숲을 베어내고, 언덕을 평평하게 만들고, 늪을 메우고, 강에 다리를 놓는 등 무수한 어려움을 겪었다. ... 총 5만 명이나 죽었다. 그러나 세베루스는 섬의 끝자락에 도달할 때까지 멈추지 않았다. ... 그는 브리튼인들에게 그들의 영토의 많은 부분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협상하도록 강요한 후 우호적인 지역으로 돌아갔다."라고 기록했다.[70]

210년까지 세베루스의 원정은 칼레도니아 게릴라 전술과 로마군의 엄청난 사상자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71] 칼레도니아인들은 평화를 구걸했고, 세베루스는 그들이 센트럴 로우랜드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이를 허락했다.[67][72] 칼레도니아인들은 보급품이 부족하고 자신들의 입장이 절박하다고 느껴 그해 늦게 마에타에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74] 세베루스는 칼레도니아에서 또 다른 장기적인 원정을 준비하면서 칼레도니아인들을 전멸시키려고 마음먹고 병사들에게 "어떤 사람도 멸망을 피하게 해서는 안 되며, 우리의 손에서 벗어나게 해서도 안 된다. 심지어 어머니의 자궁 속에 있는 아기라도 남자라면 멸망을 피하게 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75][76]

4. 2. 내정 개혁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정복 전쟁에서는 승리를 거두었지만, 원로원과의 관계는 좋지 않았다. 그는 군사력을 통해 권력을 잡았기 때문에 원로원은 그를 탐탁지 않게 여겼고, 세베루스 역시 원로원을 불신했다.[51][52] 그는 부패와 음모를 이유로 많은 원로원 의원들을 처형하고 자신의 측근들로 교체했다.[51][52] 이러한 조치는 로마를 군사 독재 체제로 만들었지만, 콤모두스 시대의 부패를 근절했기 때문에 시민들에게는 인기가 있었다.[51][52]

193년 로마에 도착한 세베루스는 페르티낙스를 살해하고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에게 황제 자리를 판 근위대를 해산시켰다.[34] 근위대원들은 의례용 갑옷을 벗어야 했고, 도시에서 160km 이내 접근이 금지되었다.[56] 세베루스는 기존 근위대를 자신의 도나우 군단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10개의 새로운 코호트로 교체했다.[57]

197년경, 그는 군단 수를 30개에서 33개로 늘리고, I, II, III ''Parthica''라는 세 개의 새로운 군단을 창설했다.[58] 그는 군단 II 파르티카를 로마에서 20km 떨어진 알바눔에 주둔시켰다.[57] 병사들에게는 각각 1,000 세스테르티우스(250 데나리우스)의 특별 상여금을 지급했고,[59] 군단병의 연봉을 300 데나리우스에서 400 데나리우스로 인상했다.[60] 세베루스는 이탈리아에 제국 군대의 일부를 주둔시킨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 그는 로마가 어디든 파견될 수 있는 군사적 중앙 예비군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61]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53] 197년 이후 세베루스는 근위대장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플라우티아누스는 제국 행정을 거의 완전히 통제하게 되었다.[53] 플라우티아누스의 딸 풀비아 플라우틸라는 세베루스의 아들 카라칼라와 결혼했다. 그러나 플라우티아누스의 권력은 204년 황제의 형제에 의해 고발되면서 끝났다. 205년, 율리아 돔나와 카라칼라는 플라우티아누스가 세베루스를 살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고발했고, 플라우티아누스는 처형되었다.[54] 이후 세베루스는 법학자 파피니아누스에게 행정을 맡겼으며, 원로원 의원들의 처형은 계속되었다. 카시우스 디오는 많은 원로원 의원들이 정식 재판 후 처형되었다고 기록했다. 플라우티아누스 사후, 세베루스는 아내 율리아 돔나의 조언에 더 의존했다.[55]

종교 정책과 관련해서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기독교 신자들이 증가함에 따라,[131] 197년 또는 198년에 대규모 박해가 있었다.[132]

4. 3. 종교 정책

세베루스 통치 초기에는 트라야누스의 기독교 정책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즉, 기독교인들은 황제와 신 숭배를 거부할 때만 처벌받았고, 굳이 찾아내 처벌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박해는 일관성이 없었고, 지역적이며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내부 반대와 외부 위협에 직면한 세베루스는 혼합주의를 장려하여 종교적 화합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는 유대교와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을 처벌하는 칙령을 내렸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로마 제국에서 여러 기독교도 박해가 발생했으며,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전통적으로 이를 세베루스의 탓으로 돌렸다. 세베루스의 기독교도에 대한 칙령은 사실과 허구가 섞인 신뢰하기 어려운 ''아우구스타 열전''에 언급되어 있다. 초기 교회 역사가 유세비우스는 세베루스를 박해자로 묘사했다. 그러나 기독교 변증가 테르툴리아누스는 세베루스가 기독교도에게 호의적이었으며, 기독교인을 개인 주치의로 고용했고, 몇몇 고귀한 기독교인들을 폭도로부터 구하기 위해 직접 개입했다고 말했다. 일부 학자들은 유세비우스가 세베루스를 박해자로 묘사한 것은 단순히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특히 ''로마 순교록''에 기록된 마다우로스, 카랄람보스, 페르페투아와 펠리키타스의 순교를 포함한 수많은 박해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들은 세베루스의 제국 전체의 조치나 칙령보다는 지역적 박해의 결과였을 것이다.

5. 죽음과 유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211년 2월 4일 에부라쿰에서 병으로 사망했다.[4] 그는 죽기 전 아들들에게 "화합하고, 병사들을 부유하게 하고, 다른 모든 사람을 무시하라"는 조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79] 세베루스가 죽자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했고,[80] 아들 카라칼라와 게타가 공동 황제로 즉위하여 세베루스 왕조를 이어갔다.[80] 세베루스의 유해는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영묘에 안치되었다.

에드워드 기번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로마 제국 쇠퇴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하며, 그의 정책이 제국의 장기적인 안정을 해쳤다고 비판했다.[87] 특히 군사비 지출 증가와 화폐 평가절하는 경제에 큰 부담을 주었다.[92][93]

반면, 세베루스의 통치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은 2mi2가 넘는 면적으로 확장되어 최대 영역을 달성했다는 평가도 있다.[81][82][83][84][85][86] 리메스 트리폴리타누스 확장을 통해 아프리카 속주를 안정시켰고,[88] 파르티아 제국에 대한 승리로 니시비스와 싱가라를 확보하는 등 군사적 업적도 남겼다.[89]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건축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로마 포룸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과 로마의 셉티조디움을 건설했으며,[52] 고향 렙티스 마그나를 발전시키고 개선문을 세웠다.[94]

렙티스 마그나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참조

[1] 서적 Römische Kaisertabelle Grundzüge einer römischen Kaiserchronologie https://books.googl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4] 서적
[5]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Yale University Press
[7] 뉴스 Roman emperor hailed as 'black Briton' – even though he wasn't black Daily Telegraph 2023-10-30
[8] 서적 Septimius Severus in Scotland: The Northern Campaigns of the First Hammer of the Scots https://books.google[...] Greenhill Books 2018
[9] 서적
[10]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6-01
[11] 웹사이트 Emperor Septimius Severus dies at York https://www.historyt[...] 2021-12-01
[12] 서적 Classic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Roman Imperial Coinage, vol. IV, part I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London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Encyclopedia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Newton & Compton
[33]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34]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35] 서적
[36] 서적 Hannibal: The Military Biography of Rome's Greatest Enemy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Inc. 2011
[37] 문서 Severus
[38] 서적 Roman Britain and the English settlements Biblo and Tannen 1998
[39] 서적 1999
[40] 웹사이트 A History of Rome https://penelope.uch[...] Henry Holt and Company 1923
[41] 서적 1921
[42] 서적 Life of Septimius Severus
[43] 서적 1999
[44] 서적 1999
[45]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Volume I: The Dynastic Periods: From Antiquity to the Fourteenth Century
[46] 문서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
[47] 서적 1999
[48] 서적 1999
[49] 백과사전 Ctesiphon http://www.iranicaon[...] 1993
[50] 서적 1999
[51] 학술지 Rediscovering the 'Lost' Roman Caesar: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and Eurocentric Historiography 2010-03
[52] 학술지 The Arch of Septimius Severus at Lepcis Magna 1951-12
[53] 서적 Roman History
[54] 서적 1999
[55] 서적 1999
[56] 서적 1999
[57]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58] 서적 The Roman Soldier https://books.google[...] 2023-11
[59] 웹사이트 Septimius Severus: Legionary Denarius http://penelope.uchi[...]
[60] 서적 Coinage in the Roman Economy, 300 B.C. to A.D. 700, Part 700 https://books.google[...]
[61] 서적 History of Rome Charles Scribner's Sons 1978
[62] 웹사이트 Historia Augusta https://penelope.uch[...]
[63] 문서 Historia Ecclesiastica
[64] 웹사이트 Ad Scapulam http://www.tertullia[...] 2015-10-25
[65] 서적 1999
[66] 서적 1999
[67] 서적 1999
[68] 웹사이트 Roman campaigns north of the Forth-Clyde isthmus: the evidence of the temporary camps http://ads.ahds.ac.u[...] 2012-11-07
[69] 웹사이트 Carpow https://canmore.org.[...] 2018-05-15
[70] 웹사이트 Cassius Dio – Epitome of Book 77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2-11-07
[71] 뉴스 Ancient Roman 'hand of god' discovered near Hadrian's Wall sheds light on biggest combat operation ever in UK https://www.independ[...] 2018-06-27
[72] 서적 Roman History
[73] 서적
[74] 서적
[75] 뉴스 The Honest Truth: How the Romans came close but ultimately failed to conquer Scotland under Septimius Severus https://www.sundaypo[...] The Sunday Post 2018-05-16
[76] 서적 Romaika
[77] 서적 Roman History
[78] 서적
[79] 서적 Roman History
[80] 서적 Life of Septimius Severus
[81] 서적 Rome's Desert Fronti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8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83] 서적 Rivers and the Power of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84] 서적 Cassius Dio: Römische Geschichte marixverlag
[85] 서적 Eutrope: Abrégé d'histoire romaine Les belles lettres
[86] 서적 Aurélius Victor: Livre des Césars Les belles lettres
[87]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www.ccel.org/[...] Cadell
[88] 서적 Cities in the Sand https://penelope.uch[...]
[89]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https://books.google[...] Blackwell
[90]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9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oman Empire http://www.tertullia[...]
[92] 웹사이트 Tulane University "Roman Currency of the Principate" http://www.tulane.ed[...]
[93] 서적 Coinage in the Roman Economy, 300 B.C. to A.D. 700 https://books.google[...]
[94]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Septimius Severus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Historia Augusta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Prosopographia Imperii Romani
[124] 서적
[125] 서적
[126] 웹사이트 Severus campaigns in Caledonia http://ads.ahds.ac.u[...]
[127] 서적 Roman History
[128] 서적
[129] 서적 Roman History
[130] 서적 Roman History
[131] 서적 Stromata
[132] 서적 Ad martyres
[133] 서적 Roman History
[134] 서적 Historia Augu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